[산업일보]
중소기업인들이 느끼는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은 ‘대기업 위주의 경제구조’인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가 최근 중소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중소기업이 바라는 차기 정부 경제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 ‘지난 4년간 경제정책의 만족도’는 불만족이 52.3%로 과반수 이상이었으며, 보통은 39.0%, 만족은 8.7% 응답에 불과했다.
‘중소기업 성장에 가장 큰 걸림돌’은 대기업에 유리한 경제구조 고착화가 5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중소기업에 대한 편견(31.0%), 공정경쟁 환경 미비(25.0%), 대기업의 고임금 구조(2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차기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은 내수경기회복과 일자리 창출이 각각 61.3%, 43.0%로 가장 높았고, 그 밖에 양극화 해소(35.7%), 공정경쟁거래(20.7%), 수출 활성화(13.7%)를 꼽았다.
‘차기 정부의 중점 추진 中企정책’으로는 소상공인 사업영역 보호 및 자생력‧경쟁력 강화(52.7%), 불공정거래 행위 처벌 강화(42.7%), 인력수급 원활화(41.0%), 내수기업의 수출전환 지원 확대(22.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박성택 중기중앙회장은 “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재벌과 권력 실세간의 정경유착 고리를 끊고, 제19대 대선을 기회로 경제개혁(산업구조개혁)을 통해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내수시장으로 독립하고, 재벌개혁과 정경유착 근절을 위한 법과 제도의 틀을 마련해야 하며, 금융개혁을 통해 대기업에 집중된 금융자원 왜곡 배분 문제를 시정해야 한다”며, “조선, 해운 등 부실대기업의 신속한 구조조정을 통해 한정된 금융자원이 중소기업과 신성장, 서비스산업으로 흘러가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덧붙여 박 회장은 “노동개혁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통한 투자를 증진시키고 젊은이들이 중소기업에서 꿈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