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 2조원 '훌쩍'
이강은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 2조원 '훌쩍'

기사입력 2014-08-23 07:57:58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지난해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실적이 2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지난해 정부·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실적을 집계한 결과, 2조 431억원에 달했다. 이는 2004년도 녹색제품 구매실적 2549억원에 비해 8배가 증가한 수치다.

녹색제품은 환경표지 또는 우수재활용(Good Recycle)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환경오염 저감, 에너지 자원·절약, 인체 유해성 예방 등의 환경적 편익이 높은 제품을 의미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공공기관의 10년간 녹색제품 구매액은 총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제품 구매를 통해 약 9000억원에 이르는 환경편익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편익은 녹색제품 사용에 따른 에너지 절약, 자원 절약, 폐기물 저감 등의 경제적 효과를 말한다.

특히 공공기관이 주로 구매하는 컴퓨터, 프린터, 에어컨 등 20여개 품목이 에너지 절약형 제품으로 대체됨에 따라 10년간 총 425만톤의 이산화탄소도 감축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녹색제품의 종류도 늘어났다. 올 7월 기준으로 2210개사에서 생산하는 1만 2116개 제품이 환경표지 인증을 받아 공공기관이 구매하는 녹색제품 대상에 포함됐다.

참고로 2004년 12월 당시 환경표지 인증을 받은 제품 수는 445개 사에서 생산한 1536개였다.

홍동곤 환경부 환경기술경제과 과장은 “공공기관이 중심이 돼 추진해온 녹색구매 성과를 민간으로까지 확산시키기 위한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생활 속에서 믿을 수 있는 녹색제품을 쉽게 찾아 쓸 수 있도록 소비자 선호 환경표지 인증품목 확대, 녹색매장 지정 확대 등의 다양한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2005년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을 도입해 879개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이 녹색제품을 구매하고 그 실적을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조달청과의 협업을 통해 3만여개 녹색제품을 조달청 나라장터에 등록해 공공기관이 우선적으로 녹색제품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녹색제품 시장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

환경부는 공공기관들이 녹색제품 구매를 적극적으로 실천한 결과, 환경·경제적 효과가 매년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