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친환경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산업 부문 에너지 공급의 한 축을 담당하는 산업단지 집단에너지 사업의 역할과 방향성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 역시 ‘집단에너지사업법’을 통해 집단에너지 사업을 장려하면서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감축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27일 국회에서 사단법인 한국열병합발전협회 주관으로 열린 ‘산업단지 집단에너지 탈석탄 연료전환과 재생에너지 활용 지원방안 토론회’에서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산업단지에서 탈석탄과 재생에너지 활용이 어떤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는지에 대한 토론이 벌어졌다.
이날 토론회에서 숙명여대 임용훈 교수는 ‘산업단지 집단에너지 LNG & 신‧재생에너지 연계 히트펌프 실증사업 모델’이라는 발표를 통해 집단에너지에서 히트펌프와 신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임 교수는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의 열부문 CO2는 지역 냉난방의 약 3.57배”라며 “석탄이 차지하는 비중도 50% 이상이기 때문에 탄소집약 구조가 고착되고 있는데, 탄소 비용의 대부분이 스팀 생산에서 발생한다”고 말했다.
임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내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EU CBAM의 핵심 품목인 철강이나 알루미늄, 화학, 비료 등은 대부분이 국내 산업단지의 주요 업종으로 수출기업 중심으로 스팀 탄소저감 요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석탄에서 LNG로 산업단지의 주 에너지원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시장과 정책의 충돌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한 임 교수는 “기술적으로는 고온 스팀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중‧고온 스팀 저탄소 생산기술의 대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임 교수는 “기존에 있는 기술을 대체하는 과정에서 시장 상황이 녹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제한 뒤 “기술을 개발하거나 국산화를 위해서는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궁극적인 단계로 가기 이전의 중간 기술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임 교수는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를 유지하는데 있어 국제적인 규제는 사업자들한테 큰 부담이 되고 결국 이런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들이 비용으로 전가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결과적으로는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국가적인 탄소 목표 달성을 위해서 산업단지 집단의 탈탄소화를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