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화성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인구 154만 명 목표
임성일 기자|sm02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화성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인구 154만 명 목표

2도심 4부도심 9지역중심 구조 재편… 첨단기술·문화 기반 글로벌 도시 육성

기사입력 2025-11-25 09:26:2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경기도는 지난 24일 화성시가 신청한 ‘204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안)’을 최종 승인했다고 25일 밝혔다. 화성 도시기본계획은 화성시의 미래와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최상위 계획이다.

화성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인구 154만 명 목표

2040년 목표 계획인구는 통계청 인구추계치와 각종 개발사업 유입 인구를 고려해 현재(약 104만 명)보다 50만 명 증가한 154만 명으로 설정됐다. 화성시 공간구조는 거점 변화와 균형발전을 고려해 2도심, 4부도심, 9지역중심으로 계획됐다.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화성시 전체 행정구역(1,126.32㎢) 중 장래 도시발전에 대비한 개발 가용지 46.85㎢는 시가화예정용지로 계획됐다. 기존 개발지 102.19㎢는 시가화용지로, 나머지 977.28㎢는 보전용지로 확정됐다.

생활권은 동탄, 동부, 중부, 서부 총 4개 권역으로 나뉘어 발전전략이 제시됐다. 동탄생활권은 신산업 생태계 구축과 친환경 도시 기반 마련에, 동부생활권은 광역 환승 거점 조성과 원도심 정비 및 관광산업 육성에 주력한다. 중부생활권은 산·학·연 연계 네트워크 조성과 녹색 관광 벨트 구축을, 서부생활권은 자동차·바이오 등 신성장 산업 클러스터 구축과 해양 관광 산업 육성을 목표로 한다.

교통계획은 주요 생활권을 연계하는 순환도로망 체계 구축, 광역급행철도(GTX-A, C)를 포함한 철도망 계획 등 경기 서부 SOC 대개발과 연계된 기반시설 계획을 반영했다.

김희성 경기도 도시정책과장은 “204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 승인에 따라 화성시가 공공주택지구(봉담3·진안), 송산그린시티, 화성 국제테마파크 등 개발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로 성장함과 더불어 화성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세계 최대 금속선물거래소인 London Metal Exchange(런던금속거래소) 동향과 협단체 동향을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