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교육부가 AI(인공지능) 시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모두를 위한 AI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 최교진 장관은 10일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해당 정책을 소개하며 “글로벌 패권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AI시대에,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쳐진다는 위기의식을 토대로 정부는 AI 분야에 대대적인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라며 “AI 3강 도약이라는 비전 달성을 위해선 인프라·데이터 확충과 함께 ‘AI 인재’ 양성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최 장관은 이어 “AI는 더 이상 전문가의 도구가 아니라 누구나 일상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생활 속 필수 기술”이라며 “초·중등 교육에서 평생교육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 주기에 걸쳐 AI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라고 말했다.
이번 정책의 핵심 분야는 크게 5가지로, ▲전 생애 주기에 걸친 AI 기본 교육 강화 ▲지역별 AI 인재 양성 체계 구축 ▲우수 AI 인재 조기 양성 및 안정적인 성장경로 지원 ▲산업·학문 전반에서 AI 융합인재 양성 ▲기업·대학 공동 AI 인재 양성 모델 활성화 등이다.
교육부는 그간 주로 초·중등 교육에만 초점이 맞춰있던 AI·디지털 교육을 고등·평생 분야로 확장한다.
초·중등학교에서는 AI 윤리를 비롯한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하고, 대학에서 AI를 전공하지 않는 학생들도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거점국립대를 중심으로 AI 기본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우수 강좌와 교원을 인근 대학과 공유한다.
성인 학습자가 직무 관련 AI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재직자 AID(AI+Digital) 집중과정도 강화하고, 사이버대와 방송대 등 온라인 플랫폼의 AI 콘텐츠를 확대한다.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으로 경제적 부담도 완화한다.
지역 단위 AI 교육 체계 구축을 위해, 2028년까지 17개 시도교육청에 AI 교육지원센터를 설치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학생·학부모에게 양질의 AI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교육청과 대학·기업이 학교 AI 교육을 지원하는 협력 체계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 33개 학교에 300억 원 지원을 시작으로 거점국립대를 지역 AI 인재 양성 허브로 육성하는 정책도 추진한다. 해당 학교에 AI 학과 중심의 단과대학을 설치하고 인프라를 구축해 인근 지역의 대학·기업·연구소와 협력을 주도하는 지역 AI 교육의 중심축으로 삼는다.
우수 인재들의 이공분야 기피를 해소하고 해외 유출을 방지하고자, 과학고·영재학교에 대한 AI 소프트웨어 특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운영 지원을 올해 14개 학교에서 내년 27개 학교 전체로 확대한다. AI 입학전형도 늘려 우수 인재를 조기 발굴한다. 고등교육법 개정으로 박사 과정을 마치기까지 8년이 소요되던 것을 최대 5.5년으로 단축하기도 한다.
AI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선 초중등 단계부터 스팀(STEAM) 교육을 늘리고 다양한 교과 지식을 활용해 융·복합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지원한다.
더불어 대학이 이차전지·바이오 등 첨단 분야와 AI를 연계한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할 수 있도록 AX 부트캠프 사업을 도입하고, 전문대학에서도 AID 활용 수업을 확산하도록 AID 전환 중점 대학 사업도 신설한다.
최교진 장관은 “AI 인재 양성은 국가 생존 전략 차원에서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교육부는 관계 부처와 협력하고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AX 시대를 선도하는 다양한 AI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