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세대 AI 반도체, 인공지능 운명 바꿀까
황예인 기자|yee961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차세대 AI 반도체, 인공지능 운명 바꿀까

‘적은 전력’, ‘대량 연산’ 수행 위한 새로운 AI 반도체 필요

기사입력 2023-06-07 16:44:4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초거대 AI 시대’에 인공지능이 수행하는 연산량은 상상 그 이상이다. AI 반도체는 이러한 대량 연산을 초고속, 초전력으로 실행함으로써, 그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차세대 AI 반도체, 인공지능 운명 바꿀까


‘AI 반도체와 산업 생태계 패러다임 전환’ 간담회가 7일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돼, 전문 산업계 및 학계들이 모여 AI 반도체 기술 개발 현황 및 정부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구본태 연구본부장은 “적은 전력으로도 대규모의 연산을 수행하는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정부는 관련 사업을 계획 중이다”라며 해당 사업 성공 시, 세계적으로 국내 반도체 산업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차세대 AI 반도체, 인공지능 운명 바꿀까


또한, 지금은 ‘창작하는 시대’라고 언급한 구본태 본부장은 “인공지능은 언어뿐만 아니라 영상, 음성 등 기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기반 모델에서 Transformer로 전환중”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앞으로 AI 모델 크기 변화는 방대해질 것이고, 이러한 알고리즘을 돌리기 위해 100조 개 이상의 파라미터가 필요할 것이며, 그에 따라 데이터량 및 전력량 또한 커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를 위해 핌(PIM) 같은 차세대 AI 반도체의 등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현재 국내 반도체 대기업에서는 디램(DRAM) 기반으로 핌을 개발 중이다. 이를 두고 그는 “곧 국산 반도체로 데이터를 빠른 시간 내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면서 데이터 처리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 분야 등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간담회는 박완주 무소속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부통신부가 주관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추천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