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농업도 스마트하게
조미정 기자|mjcho@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농업도 스마트하게

팜트랙,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자동양액공급장치’ 연구·개발

기사입력 2018-09-06 14:46:0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농업도 스마트하게
팜트랙 한창현 대표

[산업일보]
농촌 지역의 고령화 현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청년들은 농업을 기피하고, 남아있는 노인들이 감당하기에 농업은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한다. 그중 하우스농사는 온실의 온도와 습도, 더위와 추위를 직접 조절해야 하는 분야로 잔손이 많이 드는 재배 방식으로 꼽힌다.

오는 9월 12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8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에 참가 예정인 팜트랙은 실무자 중심의 ‘스마트팜(SmartFarm)’을 구현해내기 위해 지난 6월 문을 연 스타트업이다.

IT전문가인 한창현 대표와 농업전문가 우천석 기술이사는 보다 현실성 있는 가격대와 현장의 고충을 반영한 제품으로 농업의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해 뭉쳤다.

한창현 대표는 “현재 ‘실시간자동양액공급장치’를 연구·개발 중이다. 이 장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비료 양을 산출해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다”면서 “기존의 자동공급장치가 시간 제어만 가능했다면, 우리가 개발하고 있는 장치는 날씨(습도), 작물의 생장상태 등을 감지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소개했다.

팜트랙의 ‘실시간자동양액공급장치’는 30~40% 연구·개발이 완료된 상태로, 정부와 특허청이 지원하는 ‘IP 나래 프로그램’에 선정돼 특허출원 중이다.

최근 비료로 인한 토양오염은 환경보호 방지 관점에서도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한 대표 역시 “작물의 상태와 농장 상황에 맞는 비료 분사로 함부로 흘려보내는 비료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창현 대표는 “우리가 개발하는 자동 공급장치가 최초는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장치들이 대학교 연구실 주도하에 개발된 것들로 가격이 비싸고 실효성이 떨어진다”면서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농업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부 조미정 기자입니다. 4차 산업혁명 및 블록체인, 산업전시회 등의 분야에 대해서 독자여러분과 소통하도록 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