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적이고 논리적인 그리핑 연결이 간단해졌다.
슝크(이하 SCHUNK)는 자동화 전문가들을 위해 한 평면에 무작위로 배열된 개별 물체의 핸들링 위한 2D 그래스핑 키트를 개발했다고 7일 발표했다
SCHUNK에 따르면 자체 산업용 PC(SVC)에 사전 설치된 자체 개발 AI 소프트웨어가 이 해당 지능형 시스템 핵심이라고 했다. 모든 로봇에 사용할 수 있다.

운반 벨트, 트레이 또는 스테이징 테이블을 통해 개별적이고 무작위로 배열되며 배치되지 않은 부품의 제거는 많은 산업의 제조 작업에서 일반적인 작업이다. 그 후 일반적으로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추가 처리, 분리 또는 기계로 운반된다.
로봇, 그리퍼 및 비전 시스템을 사용한 자동 핸들링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처리, 조명 및 프로세스 기술에 대한 경험을 필요로 한다. SCHUNK는 2D 그래스핑 키트를 사용해 자동화된 개체 처리를 훨씬 간편해진 솔루션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플러그 앤 플레이, 비전 기반 시스템을 쉽게 통합하고 즉시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조 프로세스 자동화의 초기 단계에 있는 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핵심은 SCHUNK-KI 소프트웨어에 있다
기계 로딩 및 언로딩의 단순한 부분 자동화를 위한 MTB 애플리케이션 키트 뿐만 아니라 2D 그래스핑 키트는 자동화 전문가인 SCHUNK가 고객에게 더 큰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추가 모듈이다. 지능형 객체 인식 및 유연한 그립 그리고 직관적인 사용성의 결합을 통해 특정 고객들이 요구하고 있는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맞춤형 설정이 가능하다.
무위치 지향 공작물의 그리핑 및 배치를 위한 매칭 애플리케이션 키트는 카메라 시스템과 렌즈, 애플리케이션별 그리핑 시스템, SCHUNK의 자체 산업용 PC(SVC) 및 로봇 제어 시스템으로의 손쉬운 통합이 가능한 플러그인으로 구성돼 있다. 시스템의 핵심은 SCHUNK에서 개발한 AI 소프트웨어다. 변화하는 조명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인식을 하기에 프로세스 신뢰성을 높였다는 평이다.
해당 카메라 시스템은 충돌 점검을 포함해 파지 가능성을 계산하는 동시에 충분하지 못한 조명 조건에서도 정의된 평면의 작업물을 안정적으로 감지한다. 더 이상 공작물을 미리 정렬 또는 배치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이전 프로세스를 유지할 수 있다.
AI를 사용한 공작물 감지를 통해 이전에 정의된 물체를 검색한다. 소프트웨어는 이전에 소프트웨어에서 정의한 공작물과 핑거의 간섭 윤곽을 통해 정의된 작업 공간에서 충돌 없이 공작물을 잡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계산한다. 감지 후 자동으로 충돌 없는 그립 및 접근 지점이 계산돼 몇 초 내에 로봇으로 전송된다.
사용자들은 기성품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제조사에 상관없이 2D 그래스핑 키트를 다양한 로봇 또는 코봇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SCHUNK는 키트의 로봇에 적합한 플러그인을 제공하고 있다.
고객과의 대화 및 요구 사항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동안 애플리케이션에 맞는 조합이 조립 및 검증된다. 파지 상황에 따라 각 코봇 유형(전기식, 자기식, 접착식 또는 공압식)에 적합한 그리퍼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SCHUNK의 Calculation and Sizing Assistant 그리핑과 CoLab Robot Application Center의 현실적인 검증을 통해 선택된 그리퍼가 실제 적용 전에 공작물을 얼마나 파지할 수 있는지 세밀하고 검증할 수 있다.
2D 그래스핑 키트 사용 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사용자들은 진동 테이블, 조립 라인 또는 로드 캐리어와 같이 단일 레벨에서 임의로 배열된 부품의 픽 앤 플레이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현할 수 있다. 금속 가공 산업, 자동차 부문, 생산 엔지니어링 및 물류 회사, 생명 과학 부문의 기업들은 신뢰성 및 공정 정밀도를 확보하고 키트를 통해 향상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수동 핸들링은 먼 과거의 일이 됐다. 기계나 로봇이 할 수 없는 복잡하고 섬세한 작업에 귀중한 인적 자원을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SCHUNK 로봇 애플리케이션 센터인 CoLab에서 2D 그래스핑 키트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범위하게 테스트 및 검증이 가능하다. 일례로, 카메라가 공작물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감지하고 있는지, 신뢰성이 높은 프로세스를 통해 공작물의 픽업 및 배치의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고객은 작업의 구현 또는 첫 번째 공작물과 관련한 교육 시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요건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솔루션을 훨씬 간편하게 찾고 위험을 최소화하며 자동화 솔루션의 도입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