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2@
@IMG3@
@IMG4@
@IMG5@
@IMG6@
@IMG7@
@IMG8@
[산업일보]
미국, EU 등 각국이 자국 산업 육성 중심의 다양한 탄소중립 정책을 마련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도 작용하기 때문에, 철저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무역협회(KITA) 정만기 부회장은 11일 열린 ‘제6회 무역산업포럼’에서 탄소중립 실현 및 신통상 정책 대응을 위해 무엇보다 “‘파괴적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순 설비 교체로는 탄소중립 실현이 불가능하다고 진단한 정 부회장은 “한국의 기후대응 기금을 탄소감축 R&D와 혁신 자금으로만 활용되도록 구조를 재조정 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앞서 혁신 기금(Innovation Fund)을 마련한 EU는 이를 에너지 집약, CCUS, 에너지 저장, 신재생 에너지 등 청정 기술 R&D 및 관련 투자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미래 그린 산업에 투자 시 세액공제를 하는 인센티브 위주의 정책을 펼치는 중입니다.
정 부회장은 “국가 R&D 전략을 파괴적 기술 혁신 중심으로 재편하고, 국가 R&D 정책과 기업의 기술 혁신 전략을 연계해 탄소감축 시너지를 높여가야 한다”면서, 청정 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탄소감축과 성장동력 창출 목표를 동시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
[산업일보]
미국, EU 등 각국이 자국 산업 육성 중심의 다양한 탄소중립 정책을 마련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도 작용하기 때문에, 철저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무역협회(KITA) 정만기 부회장은 11일 열린 ‘제6회 무역산업포럼’에서 탄소중립 실현 및 신통상 정책 대응을 위해 무엇보다 “‘파괴적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순 설비 교체로는 탄소중립 실현이 불가능하다고 진단한 정 부회장은 “한국의 기후대응 기금을 탄소감축 R&D와 혁신 자금으로만 활용되도록 구조를 재조정 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앞서 혁신 기금(Innovation Fund)을 마련한 EU는 이를 에너지 집약, CCUS, 에너지 저장, 신재생 에너지 등 청정 기술 R&D 및 관련 투자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미래 그린 산업에 투자 시 세액공제를 하는 인센티브 위주의 정책을 펼치는 중입니다.
정 부회장은 “국가 R&D 전략을 파괴적 기술 혁신 중심으로 재편하고, 국가 R&D 정책과 기업의 기술 혁신 전략을 연계해 탄소감축 시너지를 높여가야 한다”면서, 청정 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탄소감축과 성장동력 창출 목표를 동시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