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지역별 가솔린과 디젤 연간 소비량을 보면) 서울 지역은 1인당 345ℓ를 사용하고 있으나 경상남도, 전라남도 같은 경우 1천ℓ가 넘어 3배 정도의 에너지를 더 사용하는 중이다.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수도권은 대중교통 옵션이 존재하지만 지방은 조건이 취약해 수송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 등이 더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스튜디오 G 대표인 김현명 명지대 교수는 29일 서울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제10차 대중교통 국제정책포럼’에 참여해 수송 부분의 환경 문제를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문제를 공공의 힘으로만 풀 수가 있느냐, 공공은 이미 많은 재정을 투입했는데도 불구하고 풀지 못하고 있다”며 “모빌리티 회사의 도움으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나 생각했을 때 역시 쉽지 않다”고 의견을 내비쳤다.
수송 수요는 도시에 집중돼 있어, 민간 회사 같은 경우 수익을 내기 위해 도시 지역에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게 김 교수의 분석이다. 정부의 정책이 없다면 민간 기업들이 해당 문제를 풀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다.
발표에서는 수송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도 제시됐다. 김 교수는 2019년 이후 한국에서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Demand Responsive Transit) 2.0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며, 모빌리티 플랫폼 기반의 실시간 배차가 가능한 서비스 등이 등장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일례로 수요 데이터 기반 예측을 실제와 비교해 차이를 줄이는 DRT 수요 예측 플랫폼은 시뮬레이션에서 대기 행렬을 만들고 배차 실패율을 계산하는 모델을 이용한다는 게 발표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