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2@
@IMG3@
@IMG4@
@IMG5@
@IMG6@
@IMG7@
@IMG8@
[산업일보]
지난 7월 유럽연합(EU)은 승객과 보행자 안전을 위해 ‘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 장착을 의무화하는 새로운 ‘자동차 일반 안전 규정’을 시행했습니다. 이 규정은 새로운 자동차에 바로 적용되며, 오는 2024년 7월부터는 모든 유럽 신차에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ADAS 기능 구현에 필수적인 카메라, 라이다(LiDAR) 등 물체인식 관련 기술의 성장과 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관련 특허 역시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허청 자료를 보면, 세계 특허 분야 5대 주요국(IP5)의 자율주행 차량용 카메라·라이다에 대한 특허출원이 최근 10년간(2011~2020) 연평균 37%로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출원인 국적별로는 카메라 기술 분야의 경우, 일본이 33.2%로 가장 높았고, 중국(21.5%), 한국(19.4%), 미국(15.7%), 유럽(6.7%) 순이었습니다. 라이다 기술은 미국이 39.7%, 중국(14.3%), 일본(13.7%), 유럽(13.2%), 한국(12.8%)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허청 조병도 자율주행심사팀장은 ‘자율주행을 위한 카메라와 라이다가 서로 결합돼 융합센서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 분야에 많은 기술 진보가 예상된다'라고 전망했습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
[산업일보]
지난 7월 유럽연합(EU)은 승객과 보행자 안전을 위해 ‘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 장착을 의무화하는 새로운 ‘자동차 일반 안전 규정’을 시행했습니다. 이 규정은 새로운 자동차에 바로 적용되며, 오는 2024년 7월부터는 모든 유럽 신차에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ADAS 기능 구현에 필수적인 카메라, 라이다(LiDAR) 등 물체인식 관련 기술의 성장과 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관련 특허 역시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허청 자료를 보면, 세계 특허 분야 5대 주요국(IP5)의 자율주행 차량용 카메라·라이다에 대한 특허출원이 최근 10년간(2011~2020) 연평균 37%로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출원인 국적별로는 카메라 기술 분야의 경우, 일본이 33.2%로 가장 높았고, 중국(21.5%), 한국(19.4%), 미국(15.7%), 유럽(6.7%) 순이었습니다. 라이다 기술은 미국이 39.7%, 중국(14.3%), 일본(13.7%), 유럽(13.2%), 한국(12.8%)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허청 조병도 자율주행심사팀장은 ‘자율주행을 위한 카메라와 라이다가 서로 결합돼 융합센서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 분야에 많은 기술 진보가 예상된다'라고 전망했습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