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통상규범, 데이터·인공지능(AI)·블록체인 등 포함
코로나 이후 통상 분야도 ‘낡은 법·제도 혁신 시급’
기사입력 2020-09-18 17:27:44
[산업일보]
디지털 시대, 새로운 국제통상 체제 변화에 따른 기업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최근 국제무역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디지털 통상규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내 법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안덕근 서울대 교수를 초청해 ‘디지털시대, 국제통상 체제 변화와 기업 대응전략’을 주제로 대한상의 경영콘서트를 18일 온라인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초청연사로 나온 안덕근 교수(사진)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국제무역에도 데이터 이동, 컴퓨터 서버 위치, 사이버 안보 등 디지털 경제에서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조치를 포함하는 새로운 차원의 규범이 만들어지고 있다”면서 “우리도 디지털 경제영토 확장을 위해 낡은 법제도 개선 등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덕근 교수는“미국이 과거 WTO 서비스무역협정을 통해 서비스 경제를 주도했듯이, 최근에는 ICT 기술발전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경제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디지털무역협정을 통해 국제통상질서를 바꾸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배경으로 그는“10년 전만해도 세계 10대기업에 금융․에너지․유통기업이 대다수였지만, 이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알리바바, 페이스북 등 플랫폼 기업이 7개나 된다”면서“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산업생태계를 주도하면서 새로운 무역패턴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 교수는 美‧中간 디지털 경제 주도권 경쟁에 대해 “미국은 TPP 협정에서 디지털무역규범을 처음 선보인 이후 최근 체결한 DEPA(Digital Economy Parntership Agreement) 협정에 상품이동 뿐 아니라 무형의 콘텐츠, 데이터, AI, 블록체인 등을 포함하는 등 새로운 디지털 통상질서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은 인터넷 사용률이 아직 58% 수준에 머물러 있어 여전히 시장잠재력이 크고, 알리바바와 같은 민간기업이 디지털 시장을 주도하고, 중국내 수억 명의 소비층을 이용한 디지털 표준과 기술 확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안 교수는 “최근 OECD가 발표한‘디지털서비스 무역제한지수’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한국은 높은 수준의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했지만, 구글맵이나 우버와 같은 세계적 플랫폼 기업의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 못하게 하는 낡은 규제도 일부 남아있다”고 했다.
한편, 기업에 필요한 경영전략과 경영트렌드·국제정세 등 전략적 시사점을 주기 위해 2014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대한상의 경영콘서트’는 코로나19로 올해 4월부터 웹 세미나 형식으로 계속 이어지고 있다. 안덕근 교수의 강연은 유튜브(대한상공회의소 인사이트)와 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 ‘온라인 세미나’를 통해 18일부터 시청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 새로운 국제통상 체제 변화에 따른 기업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최근 국제무역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디지털 통상규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내 법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안덕근 서울대 교수를 초청해 ‘디지털시대, 국제통상 체제 변화와 기업 대응전략’을 주제로 대한상의 경영콘서트를 18일 온라인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안덕근 교수는“미국이 과거 WTO 서비스무역협정을 통해 서비스 경제를 주도했듯이, 최근에는 ICT 기술발전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경제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디지털무역협정을 통해 국제통상질서를 바꾸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배경으로 그는“10년 전만해도 세계 10대기업에 금융․에너지․유통기업이 대다수였지만, 이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알리바바, 페이스북 등 플랫폼 기업이 7개나 된다”면서“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산업생태계를 주도하면서 새로운 무역패턴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 교수는 美‧中간 디지털 경제 주도권 경쟁에 대해 “미국은 TPP 협정에서 디지털무역규범을 처음 선보인 이후 최근 체결한 DEPA(Digital Economy Parntership Agreement) 협정에 상품이동 뿐 아니라 무형의 콘텐츠, 데이터, AI, 블록체인 등을 포함하는 등 새로운 디지털 통상질서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은 인터넷 사용률이 아직 58% 수준에 머물러 있어 여전히 시장잠재력이 크고, 알리바바와 같은 민간기업이 디지털 시장을 주도하고, 중국내 수억 명의 소비층을 이용한 디지털 표준과 기술 확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안 교수는 “최근 OECD가 발표한‘디지털서비스 무역제한지수’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한국은 높은 수준의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했지만, 구글맵이나 우버와 같은 세계적 플랫폼 기업의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 못하게 하는 낡은 규제도 일부 남아있다”고 했다.
한편, 기업에 필요한 경영전략과 경영트렌드·국제정세 등 전략적 시사점을 주기 위해 2014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대한상의 경영콘서트’는 코로나19로 올해 4월부터 웹 세미나 형식으로 계속 이어지고 있다. 안덕근 교수의 강연은 유튜브(대한상공회의소 인사이트)와 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 ‘온라인 세미나’를 통해 18일부터 시청할 수 있다.
주요기사
- [카드뉴스] '코로나 공존시대' 핵심 화두는? 디지털 가속화·그린딜·내수시장 활성화
- [카드뉴스] 클라우드AI 단점 보완할 엣지AI, 도대체 넌 누구니?
- LSD테크(엘에스디테크), ‘디지털 뉴딜’ 선도하는 기술 위주 강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
- [사진으로 보는 산업뉴스] 굳게 닫힌 코엑스 전시장
- [모바일 On] 애플 아이폰12, 이르면 9월에 모습 드러낸다
- 코로나19 연일 확산세…반도체 업황 불안까지 더해져 타격 예상
- [단독] 더 테크(THE TECH), 코로나19 증가세 확산에 ‘개최 취소’로 가닥 잡아
- [기자수첩] 해도 문제, 안 해도 문제, 골머리 앓는 전시업계
많이 본 뉴스
추천제품
1/9
-
[신품] HITACHI 잉크젯 RX2-BD160S
-
[신품] 자동포장기계,삼면포장기 제작전문 썬팩코리아 !!
-
[신품] 대성썬빅 대용량온수기 신원에너지
-
[중고] 현대3.5톤 디젤지게차 중고 건설기계 전문
-
[중고] 아마다 자동절곡기 TBZ-2523
-
[신품] TECHSPEC® 1.1” HP Series Fixed Focal Length Lenses 고정 초점거리 렌즈
-
[중고] 액기생 탁상프레스 전동프레스 협의
-
[신품] 고해상 육안 검사시스템,현미경 협의
-
[중고] 중고방전가공기, 방전가공기, 마키노방전기 중고마키노방전기, 방전기, 중고방전기
-
[신품] 피로방지매트 600*900MM 근골격계질환 예방
-
[신품] 전기마루광택기 거산산업
-
[신품] 작업대,컨베이어 주문제작
산업부동산
가상화폐 시세

₩
%
₩
%
₩
%
Provided by 

기업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