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기운과 찬 기운이 오락가락하는 환절기, 앉아 있는 시간이 늘고 피로가 쌓이면서 말 못할 항문질환으로 고통 받는 치질 환자가 늘고 있다. 야외 활동 증가와 잦은 술자리 역시 항문 주변 혈관을 확장시켜 치질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당부된다.
치질은 사실상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생 한 번은 경험하는 질환이다. 특히 50대 이상에서는 2명 중 1명꼴로 겪는다고 알려져 있다. 치질은 항문과 그 주변에 생기는 질환으로, 덩어리가 생기는 치핵이나 항문 내벽이 찢어지는 치열, 항문 주위에 고름이 차는 치루 등의 유형이 있다.
가장 흔한 치질 증세는 치핵이다. 항문관에 존재하는 점막이 비정상적으로 부푸는 증상으로, 방치할 경우 점막이 늘어져 항문관 점막이 돌출된다. 이는 반복적인 항문관의 압력 상승이 주요 원인이다. 만성 피로나 변비, 화장실에서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간경화로 직장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을 때, 임신 후기 등에 주로 발생한다.
치핵에 걸리면 항문 안쪽 점막과 점막하 조직이 부풀어 오르거나 늘어져 빠져 나오게 된다. 초기에는 별 증상이 없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출혈이 발생하거나, 항문 덩어리가 밖으로 밀려 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정도에 따라서는 심한 통증이 생기기도 한다.
치열은 항문이 찢어지는 질환으로, 출혈과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통증이 심하면 배변 후 오랫동안 변기에서 일어나지 못할 수도 있다. 치루는 항문 안에서 밖으로 샛길을 만들고, 그 속에 진물이나 고름이 차 새는 유형이다.
이러한 항문질환은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좌욕이나 휴식, 식이섬유 섭취 등의 비수술적인 처방을 통해 먼저 치료할 수 있다. 균형 잡힌 식단과 꾸준한 운동, 섬유질 섭취, 배변습관 교정 등을 통해 증상을 관리하는 것도 어느 정도는 가능하다.
하지만 치질은 부끄러운 질환이라는 편견과 잘못된 속설 때문에 제때 치료를 못해 병을 키우는 예가 많다. 심한 경우에는 염증이 암으로 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참거나 숨기지 말고 항문외과를 찾아 증상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항문 출혈이나 통증 등은 정확한 진단을 통한 병의 구분이 필요하므로 초기부터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문질환은 대게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지만, 필요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더 효과적인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진단부터 수술, 퇴원까지 하루 만에 빠른 치료 결과를 볼 수 있으므로 부담을 가질 필요가 없다.
다만 항문외과 치료의 경우,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한 후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도움말: 유항맥서울외과 성덕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