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외자기업 실패 사례로 본 시장 트렌드
박시환 기자|psh@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국의 외자기업 실패 사례로 본 시장 트렌드

국민정서 자극 시 시장서 퇴출 최근 동향 맞춘 '경영·마케팅 전략' 필요

기사입력 2019-08-19 13:02: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중국의 외자기업은 등록자본금과 자산총액에서 차지하는 주식 비중에 따라 크게 중외합자기업, 중외합작기업, 외자독자기업, 외상투자주식유한회사로 나누고 있다.

중외합자기업은 중국기업과 외국기업이 합법적인 상황에서 공동 출자, 공동경영 등 형식으로 설립한 기업으로, 외국자본의 출자 비중
에 대해 법정 요구가 따른다. 중외합작기업의 경우, 중국기업은 무형자산으로 출자 가능하며, 외국투자자의 경우 투자를 먼저 회수할 수 있다. 출자 비중에 대해 강제성이 없다.

외자독자기업은 외국자본이 100% 출자한 기업이고, 외상투자 주식유한회사 외국주주와 중국 주주가 공동설립한 기업이다. 주주는 구매한 주식 비중에 대응한 책임을 진다.

2017년 기준 중국의 외자기업 수는 53만9천여 개로 전년대비 6.8% 늘었다. 지난 5년 지속적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8년 기준 중국의 신규 설립 외자기업 수는 6만533개로 전년대비 69.8% 많아졌다.


중국의 외자기업 실패 사례로 본 시장 트렌드

외국 기업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면 보수적인 경영방식을 버리고 무엇보다 국민정서를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무협 상하이지부가 발표한 ‘중국 외자기업 실패 사례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해 중국에서 신규 설립된 외자기업 수는 6만533개로 전년 대비 69.8%나 늘었고 외자유치 총액은 1천349억 달러를 기록했다. 올 3월 ‘외자투자법’이 통과되고 서비스업·제조업·광업·농업 분야도 개방을 추진하고 있어 중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중국 진출을 꾀했던 글로벌 기업들도 ▲보수적인 경영방식 ▲소비자 수요 및 트렌드 분석 실패 ▲국민정서 자극 등으로 안착에 실패한 경우가 많아 우리 기업들도 관련 사례를 참고해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영국에서 통했던 일상복 위주의 독자 브랜드 유통전략을 고수한 막스앤스펜서나 제품 선구매 후판매를 고집한 베스트바이, 대형차 및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의 트렌드에 대응하지 못한 스즈키,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으로 수요창출에 실패한 올림푸스 등이 대표적이다.

이탈리아 패션기업 돌체앤가바나(D&G)는 중국인 희화화 광고, 동양인 비하 발언 등 국민정서를 건드려 불매운동이 일어나는 동시에 중국 주요 온라인 매장에서 퇴출됐다. 한때 중국 25개 도시에서 36개 매장을 운영했던 영국의 건축자재 백화점 비앤큐는 공급상 착취, 강제 판매, 높은 커미션 등의 비리로 거액의 적자를 감수해야 했다.

1995년 중국 유통시장에 진출한 프랑스의 까르푸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 성화 봉송 중 파리에서 발생한 중국 인권시위 등으로 프랑스 기업 불매운동의 타깃이 됐고, 가격표와 다른 금액으로 계산하는 눈속임 영수증 발급 사건까지 일어나자 올해 중국 유통기업 쑤닝에게 대부분의 주식을 매각했다.

무협 심준석 상하이지부장은 “상하이의 올 상반기 신규 외자투자가 전년 대비 49.2% 증가하는 등 중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면서 “중국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들은 유통시장과 소비자 트렌드에 대한 사전조사는 물론 진출 후에도 중국인의 정서를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 GO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추천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