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日,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수출 전면 금지 가능성 ‘매우 낮음’
조해진 기자|jhj@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日,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수출 전면 금지 가능성 ‘매우 낮음’

CP 기업은 수출에 차질 없어…반도체 수급 관련 리스크 우려보다 대폭 낮아져

기사입력 2019-08-18 14:02:5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日,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수출 전면 금지 가능성 ‘매우 낮음’

[산업일보]
우리나라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전세계적인 입지를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 및 장비들은 일본에 의존도가 높다. 최근 일본이 강제노역 판결에 대한 보복성 행위로 한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면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재료 수급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으나 수출 전면 금지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반도체/디스플레이 : 일본 의존도 높으나 특별 일반포괄허가 인증 기업 다수 포함’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에서 관리하는 전략 물자 리스트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T 관련 품목의 생산 공정에서 필수적인 제조용 장비 대부분이 포함돼 있다.

현재 한국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의 국산화율은 각각 20%, 70% 수준으로 반도체의 국산화율이 더 열악한 상태다. 그러나 수입 의존도를 살펴보면 일본의 비중이 반도체는 32%, 디스플레이는 82.9%로 디스플레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이미 지난 7월부터 불화폴리이미드, 리지스트, 불화수소 등 3종을 수출 중단하고, 이 밖에도 다수의 품목을 개별 허가로 전환했다. 다만 리지스트의 경우 지난 8일 한 건의 수출에 대해 승인을 한 바 있다.

해당 사례와 한국의 DRAM 시장점유율이 74.4%에 달하는 사실 등을 근거로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이주완 연구위원은 “한국의 반도체 생산이 실제 중단될 경우 전 세계적인 파장이 너무 크기 때문에 수출 전면 금지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수출 전면 금지 가능성은 낮지만 약 1천200개 품목이 개별허가로 전환됐기에 별도의 공지 없이 언제든지 수출을 3개월까지 중단·지연하는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한다”면서 “동시에 모든 품목을 타깃으로 하기보다 몇 개의 품목을 교체하는 방식을 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이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에서 삭제돼 일반포괄허가 혜택을 잃었지만, 일부 우량 수출기업(CP: Compliance Program)에 부여되는 특별 일반포괄허가 제도는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對 한국 수출은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일본 장비 기업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고 생산 품목도 가장 많아 한국 반도체 기업의 주요 공급사인 TEL, Ulvac, Kokusai, 니콘, 캐논 등 5개 기업 모두 CP 인증을 받았다”고 밝힌 이 연구위원은 “이 밖에도 포토 리지스트, 폴리이미드, dopant 등 반도체 핵심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들도 다수 포함돼 있어 반도체의 소재와 장비 수급 관련 리스크는 처음의 우려보다 대폭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 GO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전시회와 기업의 발전 양상을 꼼꼼히 살피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추천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