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 화재 사고, 2차 전지 탓 아니었다
김진성 기자|weekendk@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ESS 화재 사고, 2차 전지 탓 아니었다

산업부, 화재사고 원인조사 결과 공개…안전대책·ESS산업생태계 강화 방안 발표

기사입력 2019-06-12 11:05:5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ESS 화재 사고, 2차 전지 탓 아니었다


[산업일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결과를 공개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대책과 ESS 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책을 발표했다.

산업부의 발표에 따르면,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결과에서 배터리(2차전지)가 화재 사고 원인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1개사(社) 일부 배터리 셀에서 극판접힘, 절단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 제조상 결함은 확인했지만, 이러한 결함을 모사한 시험/실증(實證)에서 화재는 발생하지 않았다.

산업부가 제시한 안전대책은 제조기준과 설치기준 강화, 운영·관리, 소방기준 강화로 구성됐으며, ESS용 대용량 배터리 및 전력변화장치(PCS)가 안전관리 의무대상으로 지정됐다. 옥내 설치 시 ESS 용량은 600kWh로 제한됐으며, 옥외 설치 시 전용건물을 별도로 설치하도록 규정됐다.

또한, 정기점검은 현행 4년 간격에서 1~2년 간격으로 단축하고 ESS설비를 특정소방대상물로 지정해 소방설비의 설치가 의무화된다.

기존 ESS 사업장은 공통안전조치, 추가안전조치, 소방특별조사의 안전조치를 권고하고 추가안전조치로 가동 중단된 사업장 중 옥내 설치된 ESS는 방화벽 설치 및 이격거리가 확보된 후 재가동하도록 조치했다. 또 정부의 가동중단 권고로 설비가동을 자발적으로 중단한 사업장에 대해 피크저감용은 할인특례기간 이월을 한전과 협의할 예정이다.

신재생 연계용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가중치를 추가로 부여할 예정이다. ESS 화재사고 이후로 위축된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REC 가중치 연장(기존: 2019년말 5.0, 2020년 초 이후 4.5→변경 2020년 6월말 5, 2020년 7월 이후 4.5), ESS 설치기준 개정사항 우선 반영, ESS 연계 야간발전사업제도 신설, 고효율 에너지기기 인증제도 확대, 보험료 부담 완화 등을 제시했다.

작년 10월 이후 REC가격이 급락(2018년 9월 REC 평균 9만1천580원→2019년 5월 REC 평균 6만9천980원)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수익성이 악화됐다. 이에 기존 사업자는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REC 가중치가 적용되는 ESS 설치를 검토할 전망이다. 또한, 이번 대책을 통해 ESS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기준을 마련했기 때문에 작년 화재 이후 사라진 수요가 회복될 수 있다. 다만, 배터리, PCS 제조기준 강화, 엄격해진 운영·관리 등으로 ESS 설치 비용은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발주처 입장에서도 프로젝트 안전성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검증된 제품들을 이용할 전망이다. PCS 업체들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LS산전, 효성중공업 등 경험적으로 화재 위험이 적은 대기업 제품으로 수요가 몰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LS산전은 작년 10월 이후 없던 수주가 재개되며 동시에 전력기기부문 매출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2홀
전기·전자, 반도체, AI
GO

안녕하세요~산업1부 김진성 기자입니다. 스마트공장을 포함한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 3.0을 관심깊게 살펴보고 있으며, 그 외 각종 기계분야와 전시회 산업 등에도 한 번씩 곁눈질하고 있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추천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