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신정부, 연금제도 개혁 통해 경제성장·일자리 창출 ‘기대’
악화된 정부·의회 관계 연금개혁안 처리 걸림돌
기사입력 2019-04-22 11:14:15

[산업일보]
올해 출범한 브라질의 자이르 보우소나루 정부는 친시장 중심의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며, 재정건전화를 위한 최우선 경제정책 과제로 연금제도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브라질 사회의 고령화와 잘못된 연금제도 운영이 연금기금의 수지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IMF는 브라질의 연금개혁이 실패할 경우 공공부채가 2030년 GDP의 103%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우소나루 정부는 2월 20일 공적연금 개혁안을, 3월 20일에 군인연금 개혁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브라질 정부는 가입자의 연금수령 최소연령과 기여금 납부기간을 늘려 연금수급조건을 강화하는 동시에 기여금 산정방식을 현재 월소득 대비 단일 비율에서 누진율 적용으로 조정했다.
또한, 연금수령액 산출방식을 조정해 현재 수준보다 수령액을 낮췄고, 지원기준 강화를 통해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축소했으며, 군인연금 개혁안의 경우 다른 직군에 비해 다소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면서 임금인상과 같은 혜택을 포함시켰다.
브라질 정부는 이러한 연금개혁이 성공하면 향후 10년 간 약 2천950억 달러를 절약하고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브라질 정부는 2019년 상반기에 연금개혁안 처리를 기대하고 있지만 다양한 난관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최근 대통령과 하원의장 간의 갈등으로 악화된 정부와 의회의 관계가 연금개혁안 처리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미셰우 테메르 전 대통령의 체포 이후 발생한 의회 분열상황에서 친테메르계 정당들이 연금개혁안 처리에 협조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야당은 당 차원에서 연금개혁에 반대하는 동시에 의회에서 통과절차를 최대한 지연시킬 것을 선언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군인연금 개혁안에 제기되는 특혜문제도 다른 직군의 반발을 야기해 전체적인 연금제도 개혁을 저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보우소나루 정부의 지지율 하락 및 개혁 당사자들의 반대 목소리 역시 연금개혁안의 빠른 의회 통과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상식 기자 scs9192@kidd.co.kr
반갑습니다. 신상식 기자입니다. 정부정책과 화학, 기계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빠른 속보로 여러분들을 찾아뵙겠습니다.
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많이 본 뉴스
추천제품
1/8
-
[중고] 스카이잭 SJ4626 10미터 작업용
-
[신품] 바이스트로닉 5.2kw
-
[신품] HITACHI 잉크젯 RX2-BD160S
-
[신품] 분말스틱포장기 KL-8688 (분말/과립/환)
-
[신품] 에프론400키로 쇼트기계 22,000,000 원
-
[신품] 슬라이딩도어,전동슬라이딩도어,전동슬라이딩양개도어 협의
-
[신품] 기본형샌딩기 다량처리가가능
-
[신품] 과수농가용 소형 목재파쇄기
-
[신품] 레이저용접기,클리닝 레이저 마킹기
-
[신품] 소형탭핑머신, 오토매틱탭핑기계. 탭핑머신, 탭핑기, 탭핑기계 협의
-
[중고] 중고인쇄기기 5,500,000 원
-
[신품] 국내정상 랙가공전문 30여년의 전문화된 기술력
산업부동산
가상화폐 시세

₩
%
₩
%
₩
%
Provided by 

지식산업센터 분양정보
기업뉴스
많이 본 뉴스
- 내년에도 이어질 LNG선 부족 현상, 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독식 가능할까?
- 변화하는 중국 전기차 시장, LG화학·SK이노베이션 ‘예의주시’
- 2020년 LNG선 발주 규모, 2018년 넘어선다
- [모바일 On] 일찌감치 모습 드러낸 아이폰12, 카메라4개+에어팟으로 찾아온다
- 주눅 든 국내 산업 전시회, 생기 불어넣을 방법은? (上)
-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현미경 분야도 예외 없다
- [그래픽뉴스] 자율주행차 관련 규정 부재, 주행 ‘합법’ 인정 국가 없어
- 인도 IT 산업, 성장세에 날개 달고 지속 확대 전망
- 실제와 닮은 근육, 3D 프린터로 제작 성공
- 중국에 인재 빼앗기는 한국…“인력 유출 방지 관련 장기적인 정책 지원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