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생에너지 2030’, 태양광·풍력 중심으로 발전량 높여
염재인 기자|yji@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재생에너지 2030’, 태양광·풍력 중심으로 발전량 높여

미래의 ESS, ‘연결·복합·시장’ 중심으로 나아가야

기사입력 2018-09-19 08:00: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기후변화와 자원고갈로 인해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원자력과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는 태양광 풍력, 지열 등을 이용한 친환경에너지다. 특히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ESS 연계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2030’, 태양광·풍력 중심으로 발전량 높여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의 이상훈 소장이 '재생에너지 3020의 이행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1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대회의실에서 ‘2018년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ESS 사업 이슈 및 미래 전략 세미나’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발표자인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이상훈 소장과 삼정KPMG 김범조 이사를 비롯해 태양광산업협회,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녹색에너지연구원 등 관련기관 담당자들이 참석했다.

'재생에너지 3020의 이행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발표한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의 이상훈 소장은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는 발전량의 7%, 설비용량의 12%를 차지해 주요국에 비해 발전량 비중이 낮은 편”이라며, “최근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설비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훈 소장은 “하지만 재생에너지 발전량 중 바이오‧폐기물 비중이 74%를 차지하고, 각종 규제, 대규모 투자 미흡, 국민참여 미흡 등으로 인해 재생에너지 보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현재 목표인 ‘재생에너지 3020’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생에너지 3020’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20%로 늘리고, 신규설비의 95% 이상을 태양광과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한다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다.

이 소장은 “재생에너지 3020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외부사업자‧개별입지 중심을 국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계획 개발‧규제 완화와 함께 대규모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며, “특히 태양광 소규모 발전사업자의 수익 안정성 제고와 절차 간소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국제 기준을 고려한 재생에너지 기준 정비’, ‘지구개발 실시계획 심의 전 단계 환경성 검토 실시’, ‘2021년 폐 모듈 재활용센터 건립’ 등을 주요과제로 예를 들며 환경을 고려한 재생에너지 이행방안을 설명했다.

이 소장은 “재생에너지 3020은 단순 보급 정책이 아닌,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에너지산업을 통해 2022년까지 16만8천여 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2030’, 태양광·풍력 중심으로 발전량 높여
삼정KPMG의 김범조 이사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ESS 현재 활용사례 및 미래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ESS 현재 활용사례 및 미래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 삼정KPMG의 김범조 이사는 “ESS는 전기를 저장장치에 충전한 후 필요할 때 방전해 전기를 사용하는 장치”라며, “이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이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저장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ESS는 활용하는 전기저장장치 형태에 따라 전통적 전기저장방식인 ‘양수 방식’, 일부 활용 중인 저장방식인 ‘기계적 방식’, 현재 가장 상업적인 저장방식인 ‘화학적 방식’으로 종류가 나뉜다. 화학적 방식으로는 납축전지, 리튬이온배터리, 나트륨황 배터리 등이 있다.

김범조 이사는 “현재 국내 ESS 이용은 신재생연계, 소비자 활용 및 주파수 조정 분야에 집중돼 있다”며, “주요 이용자로는 ’신재생연계 ‣ 신재생‧ESS 발전사업자‘, ’소비자 활용 ‣ 전기소비자‘, ’주파수 조정 ‣ 한국전력공사‘”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국내 ESS 활용은 단일 이용자 단위에서 단일 목적으로만 활용하도록 해 ESS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ESS의 다양한 활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더불어 “기존 안정성 중심에서 효율성 중심으로 산업 체계가 개편되고, 다수의 소규모 ESS를 연계해 하나의 대규모 발전기로 수익을 창출하는 ESS VPP(가상발전소) 모델이 다수 국가에서 검토‧활용 중”이라고 덧붙였다.

김 이사는 “또한 단일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ESS를 여러 가지 기능으로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사업자는 최대의 수익을, 전력산업은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이처럼 미래의 ESS 활용 및 수익 모델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2홀
전기·전자, 반도체, AI
GO

제조업체에서부터 정부 정책이나 동향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추천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