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T기술 융합 헬스케어산업, 패러다임 변화
박시환 기자|psh@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ICT기술 융합 헬스케어산업, 패러다임 변화

공공 부문, 우선적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 구축해야

기사입력 2018-08-06 13:09:1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최근 4차 산업혁명과 급격한 기술발전으로 인해 헬스케어 패러다임 또한 변화하고 있다. ICT, IoT 기술의 발전은 헬스케어 산업과 융합해 기존의 의료기기 중심에서 빅데이터, 웨어러블, 의료솔루션 등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됐다. 특히 이러한 기술발전 패러다임의 변화는 의료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ICT기술 융합 헬스케어산업, 패러다임 변화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기대수명 증가, ICT, IoT 기술발전 등으로 헬스케어 영역이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질병의 사전예방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의 ‘질병예방과 건강수명연장을 위한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 구축’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2012년 80.87세에서 2016년 82.36세로 증가했지만, 건강수명은 동일기간 65.7세에서 64.9세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급격한 사회환경 변화로 비만, 만성질환 등 생활습관에 관한 질환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건강한 삶을 위한 예방과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 의료시스템의 경우 ‘질병발생 시 사후 치료’ 위주다. 때문에, ‘의료기관’ 중심의 의료정보관리 및 질병발생 후 치료 중심의 서비스 제공체계 및 진료비 지불체계로 인해 질병의 사전예방과 환자에 대한 교육·상담, 건강관리 등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대비해 기존 의료기관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의 통합 건강정보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예방 및 건강관리 차원의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 부문이 선도적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기도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 구축 방안으로 ▲개인의 진료정보, 실시간 건강상태, 유전자정보 등을 제공하는 ‘통합건강정보시스템’ 구축 ▲AI를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 및 솔루션’ 구축 ▲경기도형 스마트 헬스케어 센터 설치 및 유관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스마트 헬스케어 코디네이터 양성을 제안했다.

특히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경기도 내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을 연계해 환자에 관한 의료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연구위원은 “개인의 건강과 의료, 복지에 관한 정보들은 병원, 보건소, 요양시설, 복지시설 등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에 분산돼 있어 통합건강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며 “경기도는 AI를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과 솔루션을 구축해 개인별 건강관련 정보들을 통합·연계하는 코디네이션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아라 온라인 전시관 GO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추천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