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한국은 하이테크, 산업용 원자재 수입과 하이테크 및 부품 수출량이 모두 크게 늘면서 항공 무역 지수가 6포인트 상승한 73포인트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됐다.
DHL Global Trade Barometer의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무역 성장세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며, 한국의 전체 무역 지수는 전분기 69포인트에서 이번에 74포인트로 5포인트 상승했다.
이 자료를 보면, 화학 및 제품 분야를 비롯해 차량 부품 분야 수출량 증가에 힘입어 해상 수출량이 늘어나면서 해상 수출 지수 역시 4포인트 증가한 74포인트를 점쳤다.
한국의 패션 소비재 무역량 역시 지난 분기 부진을 딛고 빠르게 성장세로 돌아섰으며, 특히 수입이 증가했다는 것은 중기적으로 소비심리가 본격적으로 살아날 것임을 시사한다.
송석표 DHL글로벌포워딩코리아 대표이사는 "한국 경제는 고품질 제조업 상품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강세를 띠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반도체 분야 매출은 5월에 45% 증가하며 사상 최대 규모인109억 달러 상당의 수출액을 달성했다"며 "이 같은 수치들은 국내 소비가 지속 촉진되면서 한국은 67억 3천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DHL Global Trade Barometer 조사 결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다음 분기 글로벌 교역량 증가를 이끌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과 중국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아울러 인도와 일본의 경우 각종 지표들이 무역 지수 상위권을 유지하며 향후 전망이 희망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해상 화물 운송량은 높은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이는 역내 경제 대국들 내에서 꾸준히 상승, 유지되고 있는 항공 화물 운송량과 더불어 아시아 경제가 기술 분야에서 성장세를 띄고 있음을 방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