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차 산업혁명의 최대 수혜 ‘로봇산업’
이상미 기자|sm02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4차 산업혁명의 최대 수혜 ‘로봇산업’

스마트팩토리, 기계학습, 협동로봇, 인공지능, 인식 등 기술경쟁력 확보 필수

기사입력 2018-02-08 09:47:3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AI, 인식, 빅데이터 기술을 필두로 한 교육용 로봇시장 선점 필요
4차 산업혁명의 최대 수혜 ‘로봇산업’

제조업과 관련, 중국 제조업 로봇 부품이, 서비스 관련에서는 중·일 교육서비스가 최고 유망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의 로봇기업이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려면 유망분야 핵심기술과 시장을 타깃팅 해 현지 기업과의 공동 기술개발, 투자 등의 다변화된 시장진출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제조기술과 미래 정보통신기술(ICT)의 융복합, 4차 산업혁명 최대 수혜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로봇산업의 글로벌 시장 현황 및 전망, 최신기술 트렌드를 분석하고 국내기업에 실질적인 해외진출 로드맵이 제시됐다.

7일 ‘글로벌 로봇산업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판매대수 기준 세계 2위의 탄탄한 내수를 기반으로 우리 로봇기업이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스마트팩토리, 기계학습, 협동로봇, 인공지능, 인식 등 기술경쟁력 확보가 필수다.

제조업용 로봇의 수요는 글로벌 기업의 생산시설 현대화·자동화, 에너지 효율화·신소재 활용, 품질개선 노력에 힘입어 지속적인 증가추세다. 국제로봇협회(IFR)에 따르면 2020년까지 연평균 15% 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중국은 현재 시장점유율 30%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시장이나 로봇밀도가 선진국보다 현저히 낮아서 잠재 수요가 여전히 높다. 2020년까지 중국 내 로봇 판매량은 14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제어기, 감속기 등 중국 자체 생산이 어려운 핵심부품 관련 우리기업의 대중국 수출가능성이 높다. 2016년 기준 로봇부품의 대중국 수출은 360억 원으로 전년대비 74% 증가했다.

글로벌 10위권 내 기업이 없는 미국, 프랑스 등 선진시장에서도 한국 제품의 가성비와 설비기술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시장 규모가 크지는 않으나 2020년까지 연 20% 이상의 성장을 기록할 동유럽, 인도, 태국, 브라질도 새로운 수요처로 부상하고 있다. 제조업용 로봇 기술이 가장 발달한 일본, 독일에의 진출가능성은 제한적이다.

한국 기업은 전통 로봇분야에서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는 것은 쉽지 않으나 ‘스마트팩토리’나 최근에 각광을 받는 ‘협동로봇’ 관련 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시장 진출확대의 전기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 지멘스와 아디다스는 ICT를 기반으로 제조 전 과정을 자동화·지능화한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완료했고, 미국·중국·일본에서도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계학습(머신러닝)은 효율적인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인데, 일본 야스카와 전기의 경우 로봇이 장인의 기술을 2시간 만에 터득할 수 있는 기계학습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화제이다. 한편, 2015년 1억 달러에서 2020년 10억 달러로 시장이 한창 형성되고 있는 협동로봇은 경량화·이동기술 등 핵심기술을 선점해야 한다.

글로벌 서비스용 로봇 시장의 성장도 매우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IFR은 2020년까지 전문서비스용 로봇, 개인서비스용 로봇(가사), 개인서비스용 로봇(오락)이 매년 각각 20-25%, 30-35%, 20-2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스마트팩토리의 필수아이템인 무인운반차(AGV)를 비롯한 물류로봇, 수술·치료용 의료로봇 및 고객 가이드나 정보제공용 홍보로봇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 1월 미국 라스베가스 CES는 AI를 탑재한 로봇의 독무대였다. 소니의 강아지 로봇 ‘아이보’, 핸슨로보틱스의 인간형 AI 로봇 ‘소피아’ 등이 인간과의 대화, 질의응답, 게임 등을 통해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다. 인간과 공감을 하는 가사지원·엔터테인먼트 로봇을 전시한 부스에도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교육용 로봇 시장이 우리 기업의 진출유망 분야로 가장 유력하다. 아직 글로벌 기업의 진출이 미미한 편이며, 특히 중국, 일본 등 영어교육 수요가 높은 국가에서 우리 기업의 기술력을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만 사용자 얼굴인식, 감정인식, 음성인식 및 빅데이터 활용 기술을 개발해 제품 차별화 및 경쟁력 요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진출방법 측면에서 현지 벤처캐피탈(VC)·액셀러레이터·스타트업들과 협력으로 해외진출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VC들의 로봇산업 투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본은 정부 차원에서 서비스용 로봇 사업 발전을 위해 해외기업과 일본 스타트업·액셀러레이터와의 제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중국 기업의 경우 센서 및 인공지능 등 기술 협력에 대한 수요가 높아서 공동 연구개발 프로그램 추진이 용이하다.

윤원석 KOTRA 정보통상협력본부장은 “글로벌 수요가 급증하는 로봇산업은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대표 먹거리 사업이 될 것”이라면서, “국내 기업은 로봇기술 선도국과의 공동 R&D, 기술·투자교류 등 글로벌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 우리의 장점인 IT·제조업 기술력을 기반으로 협동로봇·AI 기술 등 미래 핵심기술 주도권을 확보한다면, 세계 로봇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라고 로봇산업 진출 방향성을 제시했다.
1홀
FA, 로봇, 스마트팩토리
GO

반갑습니다. 편집부 이상미 기자입니다. 산업 전반에 대한 소소한 얘기와 내용으로 여러분들을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추천제품